문서사료 184건
더 보기-
招請狀-영남독도연구회 창립총회 및 기념강연회
등록번호 : 00373487
날짜 : 2000.07.13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학술단체협의회
요약설명 : 주제:독도의 지정학적 의의와 독도박물관
-
독도는 민족의 얼 온겨레가 지켜내자
등록번호 : 00890396
날짜 : 200*.00.00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재)전태일 재단
요약설명 : 독도에 대한 소개와 독도가 한국땅임을 증명하는 증거와 일본의 주장등에 대해서...
-
독도수호대
등록번호 : 00890409
날짜 : 200*.00.00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재)전태일 재단
요약설명 : 얼, 독도를 온겨레가 지켜내야 함을 주장하는 독도수호대에 가입을 신청하는 우편엽서
사진사료 15건
더 보기-
자유민주당 김종필 총재의 독도 망언에 대한 규탄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등록번호 : 00722867
날짜 : 1996.03.00
구분 : 문서류 > 사진
기증자 : 경향신문사
요약설명 : 자유민주당 김종필 총재의 1962년 한일회담 당시 독도폭파 망언에 대한 규탄대회를...
-
일본 독도 망언 규탄 시위를 벌이는 시민들
등록번호 : 00713571
날짜 : 미상
구분 : 문서류 > 사진
기증자 : 경향신문사
요약설명 :
-
독도.울릉도 위문 시찰단이 태극기를 게양하면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는 모습
등록번호 : 00734787
날짜 : 1970.11.24
구분 : 문서류 > 사진
기증자 : 경향신문사
요약설명 :
사료 콘텐츠 3건
더 보기-
한일협정이 남긴 것들
요약설명 : “독도는 1905년 이래 시마네현 관할이었고, 그동안 한국은 한 번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러스크 문서란 한국이 조약 조문에 독도가 한국령임을 명기해달라는 요청에 대한 회신이었다. 현재도 일본은 이 러스크 각서를 유력한 근거자료로 제시하며,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이다. 한일협정 체결 당시 일본 정부는 위안소 설립 개입 자체를 부인했다. 그러나 1996년 발표된 UN인권위원회 보고서는 한일협정이 일본군 ’위안부’의 청구권을 소멸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이로써 일본은 한일협정 체결로 일본군 ‘위안부’의 청구권이 소멸했다고 주장할 권리는 잃게...
-
긴급조치 9호를 농락한 3인방
요약설명 : 다음과 같은 행동지침이 들어 있었다. “통일주체국민회의를 부정하고 독도문제에 대한 박 정권의 굴욕적인 자세의 해명을 요구하는 집회를 6월 26일 오후 6시 세종로 네거리에서 서울시내 전 대학생과 시민이 함께 갖는다.” 학내 5분 집회도 어려운 판에 서울 한복판에서 집회를 하겠다는 것은 무모하기 이를 데 없는 발상이었다. 우선 이런 집회를 한다는 계획을 전파할 수단이 전무하다시피 한 상황에서 대규모 군중을 현장에 모으는 것이 불가능했다. 설사 그게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그 일대가 경찰에 의해 삼엄하게 봉쇄될 게 뻔했다. 오히려 이를 빌미로 사찰과 검색이 강화돼 가뜩이나 열악한 학생운동을 더욱 위축시킬 우려가 있었다....
-
오원춘사건-유신정권 붕괴를 예고한 조짐
요약설명 : 부둣가로 나가면 어느새 기관원이 나타나 엄포를 놓았다. “도망갈 생각은 버려. 잘못하면 독도로 보내는 수가 있어.” 오원춘은 식당 막일꾼을 자청해 밥을 얻어먹으며 허기를 때웠다. 저녁이 되면 상여 집에서 한뎃잠을 겨우 면했다. 기관원의 감시는 여전했다. 오원춘은 5월 21일에야 집으로 돌아왔다. 가족들은 오원춘을 얼싸안고 눈물을 흘리며 오열했다. 어쩐 일인지 오원춘은 자신이 납치된 사실을 공표하지 않다가, 6월 13일에야 정희욱 신부에게 자신의 납치 사실을 털어놓았다. 정 신부는 이 일을 프랑스인 두봉 주교에게 보고했고, 두봉 주교는 사목국장 정호경 신부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며칠 뒤 가톨릭농민회 안동교구연합회 차원...
구술 컬렉션 1건
더 보기일지사료 107건
더 보기-
“평화선 철폐 고려” 최덕신 단장 밝혀
일자 : 1961.7.22
분류 : 한일협정추진 > 한국정부
요약설명 : 방안에 독도를 포함시키고 명칭도 ‘어업보호수역’으로 바꾼 안을 내놓았다. ‘어업보호수역’안이 대통령의 재가를 기다리는 동안 어업문제를 비롯한 한일문제의 각종 현안들을 타결하기 위해 미국의 주선으로 1951년 10월 20일 제1차 한일회담 예비회담이 시작되었지만, 이 회담은 별 성과 없이 끝났다. 그런데 이승만 대통령은 한국 어업의 보호라는 경제적 성격뿐만 아니라 북한, 소련, 일본 등의 해상침략 저지라는 안보적 성격까지 살릴 수 있는 보다 강력한 방안을 요구했다. 이에 ‘어업보호수역’의 의미를 넘어서 ‘주권’과 ‘영해’의 문제가 적극적으로 검토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결과 1952년 1월 18일 ‘인접 해양의...
-
일본 사회당, “한일회담 지속하면 난동사태 날 것”
일자 : 1961.11.7
분류 : 한일협정반대운동 > 해외 및 북한
요약설명 : 경우, ‘한반도에 대한 식민지 통치의 청산’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으며, 독도문제나 평화선문제에서는 오히려 일본이 국익을 관철시키지 못한 저자세 외교를 했다고 비판함으로써 한국의 반대운동과는 전혀 다른 논리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즉, 일본 혁신세력의 반대운동은 기본적으로 1960년대 안보투쟁의 연속선상에서 1970년 안보조약 파기 투쟁과의 중간에 위치하는 정치투쟁의 성격이 짙었다. 위의 글은 다음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이원덕, 『한일 과거사 처리의 원점-일본의 전후처리 외교와 한일회담』, 서울대출판부, 1996,220~224쪽, 274~279쪽. 박진희, 「한·일 양국의 한일협정 반대운동 논리」, 『기억과 전망』...
-
이케다 수상·고사카 외상, 의회에서 한일문제에 대해 답변
일자 : 1962.1.29
분류 : 한일협정추진 > 일본
요약설명 : 더 이상 논란이 확대되지 않고 수면 아래로 잠복했다. 한국과 일본의 반대운동 측에서도 독도 영유권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각각의 정부와 일치된 의견을 표시했다.(박진희, 「한·일 양국의 한일협정 반대운동 논리」, 『기억과 전망』16, 2007, 342~343쪽)를 언급하여 “제3국이나 국제사법재판소를 통해서 해결하겠다”고 말하였으며, 평화선문제에 관해서는 “이 문제가 한일회담의 의제 중 선결문제”라고 말하였다. 이와 같은 고사카 외상의 말은 이날 상오 이케다 수상이 “독도는 분명히 고유의 일본영토이다. 그러나 이 문제는 한일회담과는 별도로 해결하겠다”고 말한 것을 뒷받침한 것이다. 그러나 평화선문제에 대해서 이케다 수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