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컬렉션
근대화의 그늘
5.16 이후 박정희 정권은 경제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쿠데타 이후 가장 먼저 추진한 것도 경제개발을 위한 외화를 마련하기 위해 한일회담을 성사시키는 것이었다. 그리고 63년부터 시작된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기간 동안에도 미국으로부터 공공차관을 도입하고 일본, 서독 등으로부터 상업차관을 대거 들여와 제조업을 육성하였는데, 기업들에게 특혜자금을 제공하여 제조업이 급속한 성장을 하기 시작한다.
67년부터 시작되는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에서는 수출산업에 값싼 이자의 외자를 도입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급보증을 서는 등 각종 특혜를 제공하여 중화학공업을 기간산업을 육성했고, 이로 인해 재벌기업이 비약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하지만 과도한 외자도입과 특혜 재벌 중심의 성장제일주의 경제정책은 부작용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외자도입을 통해 성장한 기업의 절반 이상이 부실기업이라고 정부에서 인정할 정도로 기업의 체질은 허약해지고, 노동자들은 살인적인 저임금 하에서 장시간 노동에 허덕이고 있었다. 농민들은 저임금을 유지하기 위한 저곡가 정책으로 골병이 들어가고 있었다. 농촌의 피폐화로 이농현상이 급속히 증대하여 도시에는 빈민들이 넘쳐나고 곳곳에 달동네, 판자촌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노동쟁의가 빈발하자 기업과 외국자본을 보호하기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노동운동을 강력히 탄압했으며, 부실기업을 살리기 위해 72년 8월 3일에는 사채를 동결하여 부실기업을 살리기 위한 긴급명령을 발동한다. 경제쿠데타로 불리는 이 조치는 결국 서민을 희생시켜 기업을 살리는 정책이었다.
판자촌에 살던 도시빈민들은 재개발의 명분으로 강제철거를 당해 판잣집에서마저 쫓겨나 거리에 나앉아야 했다.
그러나 고위 공직자와 정치인들은 특혜재벌들과 유착하여 부정을 일삼았고 부패가 만연하였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70년대 후반 들어 제2차 오일쇼크가 발생하자 취약한 국내 기업은 속수무책이었다. 중화학공업 강국을 꿈꾸며 중복투자를 일삼아왔던 관계로 공장 가동률은 50% 안팎이었다.
이로 인해 임금체불과 기업 도산이 줄을 이었으며, 79년 여름 YH 여공들이 체불임금 지급과 위장폐업 철회를 요구하며 신민당사에서 농성을 벌이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는 유신체제의 종말을 초래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작용한다.
67년부터 시작되는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에서는 수출산업에 값싼 이자의 외자를 도입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급보증을 서는 등 각종 특혜를 제공하여 중화학공업을 기간산업을 육성했고, 이로 인해 재벌기업이 비약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하지만 과도한 외자도입과 특혜 재벌 중심의 성장제일주의 경제정책은 부작용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외자도입을 통해 성장한 기업의 절반 이상이 부실기업이라고 정부에서 인정할 정도로 기업의 체질은 허약해지고, 노동자들은 살인적인 저임금 하에서 장시간 노동에 허덕이고 있었다. 농민들은 저임금을 유지하기 위한 저곡가 정책으로 골병이 들어가고 있었다. 농촌의 피폐화로 이농현상이 급속히 증대하여 도시에는 빈민들이 넘쳐나고 곳곳에 달동네, 판자촌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노동쟁의가 빈발하자 기업과 외국자본을 보호하기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노동운동을 강력히 탄압했으며, 부실기업을 살리기 위해 72년 8월 3일에는 사채를 동결하여 부실기업을 살리기 위한 긴급명령을 발동한다. 경제쿠데타로 불리는 이 조치는 결국 서민을 희생시켜 기업을 살리는 정책이었다.
판자촌에 살던 도시빈민들은 재개발의 명분으로 강제철거를 당해 판잣집에서마저 쫓겨나 거리에 나앉아야 했다.
그러나 고위 공직자와 정치인들은 특혜재벌들과 유착하여 부정을 일삼았고 부패가 만연하였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70년대 후반 들어 제2차 오일쇼크가 발생하자 취약한 국내 기업은 속수무책이었다. 중화학공업 강국을 꿈꾸며 중복투자를 일삼아왔던 관계로 공장 가동률은 50% 안팎이었다.
이로 인해 임금체불과 기업 도산이 줄을 이었으며, 79년 여름 YH 여공들이 체불임금 지급과 위장폐업 철회를 요구하며 신민당사에서 농성을 벌이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는 유신체제의 종말을 초래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작용한다.
갤러리
- 사진 저작권 안내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각각의 저작권자로부터 사용권을 획득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 서비스 이용 외에 무단전재 또는 재배포로 인한 명예훼손, 초상권 침해, 재산상의 피해 등이 발생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사진 사용 안내
- 생산자 및 기증자가 ‘박용수’인 사진의 사용은 구매신청을 클릭하여 직접 사진 구매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생산자 및 기증자가 ‘경향신문사’인 사진의 사용은 경향신문사 담당자(02-3701-1635)를 통해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의 생산자 및 기증자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담당자( sunny@kdemo.or.kr / 031-361-9539 )에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