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미문화원 점거농성 및 방화사건

80년대 반미운동은 광주민중항쟁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출발한다. 군부정권을 지원한 미국에 대한 배신감은 80년 12월 9일 광주 미문화원(공보원)방화로 나타난다. 하지만 광주 미문화원 방화사건은 전두환 정권에게 은폐됨으로써 그 진상이 알려지지 않았다. 처음에는 방화가 아닌 단순한 전기누전으로 이야기하다가, 관련자들이 밝혀진 뒤에도 ‘부랑아의 영웅심리의 발로’로 몰아붙였다. 부산지역으로 이 소식이 전파되어 82년 3월 18일 세간을 놀라게 한 부산 미문화원 방화사건이 발생한다. 같은 시각 “미국은 더 이상 한국을 속국으로 만들지 말고 이 땅에서 물러가라”는 성명서가 뿌려졌다. 이 투쟁은 광주에서 자행된 학살에 대한 미국의 책임과 저항운동 이념, 방식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가져다 준 분기점이 되었다. 이 선도적인 운동은 전국에 확산되지 못하였지만 종교인의 범인은닉혐의 구속으로 교회와 국가권력과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종교계에서 거센 반향을 일으켰다. 이후 광주민중항쟁에 대한 군부와 미국의 책임을 묻는 저항은 85년 서울미문화원 점거농성투쟁으로 이어졌다. 5월 23일 12시경 삼민투 산하 73명의 학생들이 일시에 미문화원에 진입, 2층 도서관에서 워커 주한 미 대사와의 면담을 요구하며 단식농성에 들어감으로써 나흘 동안 점거 농성이 시작되었다. 이들은 “우리는 왜 미문화원에 들어가야만 했나”라는 성명서에서 현 군사독재정권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철회하고 한미관계의 올바른 정립을 촉구하였다. 정부는 농성과 재판과정에서 시종일관 ‘반미는 좌경용공’이라고 규정했고 학생운동은 ‘반미는 아니다’라는 수세적 입장을 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은 학생운동 사상 가장 유명한 사건의 하나로 기억되면서 전학련, 삼민투 관련자들은 ‘학생운동 스타’로 부각되기도 하였다. 서울미문화원 점거농성은 미국의 광주학살개입이라는 문제의 핵심 고리를 강타함으로써 반미의식을 확산시키는 이정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