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학생청년 운동

유신시대 반독재 민주화투쟁의 선봉에는 학생들이 있었다.
1972년 10월유신이 선포되고 12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의 취임과 함께 철권통치의 시대가 전개된다. 그러나 73년 신학기가 개학하자 학생들은 유신반대 데모를 벌이기 시작하여 대학가는 혼란에 휩싸인다. 대학가가 혼란에 휩싸이자 박정희 정권은 학생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온갖 수단과 방법을 동원한다.
73년 5월에는 고려대학교 내 운동서클인 한맥회를 탄압하기 위해 ‘NH회 학원침투간첩단 사건’을 발표한다. 당시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사무국장 김낙중이 북한의 지령을 받고 학원에 침투하여 한맥회를 중심으로 한 학생들을 포섭하여 봉기를 준비했다는 것이다. 학원가 데모를 제압하기 위한 조치였다.
하지만 데모는 계속되었고 이 해 8월에 야당 지도자 김대중이 일본에서 납치되었다가 1주일 만에 천신만고 끝에 살아 돌아오자 유신의 폭력성을 목도한 학생들은 본격적으로 유신반대를 주장하며 격렬하게 저항하기 시작한다. 10월 2일에는 서울대 문리대생 250여 명이 비상총회를 열고 선언문을 낭독한 뒤 시위에 돌입했으나 경찰이 교내에 진입하여 180여 명을 연행하고 20여 명이 구속되며 50여 명이 즉결심판에 넘겨지고, 제적 등 학사징계를 받는다.
계속되는 시위에다 점차 과격해지자 정부는 74년 1월 8일에 긴급조치 1, 2호를 발동하여 일체의 개헌논의를 중단하고, 이에 대한 보도도 금지하며 이를 위반하면 비상군법회의에 의해 중형에 처한다고 으름장을 놓지만 학생운동은 지하로 잠복하여 계속된다.
그리고 이어서 4월 3일에 시위 주동자에게는 사형에 처할 수 있고, 대학을 폐교할 수 있다는 내용의 긴급조치 4호를 발령함과 동시에 민청학련 사건을 발표하여 1000명이 넘는 학생과 관련자들을 조사하고 180명을 구속하는 사상 최대의 공안사건을 발표한다. 이 해 8월 15일에는 육영수여사 저격사건이 발생하여 시위를 잠재우려 했으나 시위는 계속되었고, 동아일보 사태까지 발생하자 더욱 격화되었다.
개헌을 요구하는 시위가 그칠 줄을 모르자 박정희 정권은 75년 1월에 유신헌법에 대한 신임을 묻는 국민투표를 실시하는 초강수를 사용한다. 그리하여 찬성을 얻어낸 뒤 유화조치와 강경대응을 병행하면서 학생 시위를 잠재우려 한다.
그러나 시위는 줄어들지 않고, 4월 8일에는 긴급조치 7호를 통해 고려대학에 휴교령을 발령한다.
4월 11일에는 서울대 농대생인 김상진 군이 반유신 데모 과정에서 할복자살을 하는 사건이 터지는 등 학생 시위는 박정희 정권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한다.
그리하여 5월 13일에 박정희 정권은 긴급조치 9호를 발령하여 더욱 강력하게 탄압을 실시하지만 학생시위는 부마 민중항쟁으로 연결되고 유신체제의 종언을 고하는 데 가장 큰 밑거름으로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