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사료 100건
더 보기-
[작가 황석영 약력 및 황석영 석방 위한 대책위원회 명단]
등록번호 : 00830908
날짜 : 1993.08.05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박용길
요약설명 : 작가 황석영의 약력과 1989년 입북후 귀국한 황석영의 석방을 위한 위원회를 결성하여...
-
황석영이 홍성담에게 보낸 연하장
등록번호 : 01004675
날짜 : 1996.12.03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홍성담
요약설명 : 황석영이 옥중에서 홍성담에게 보낸 연하장으로 아이들이 그네타는 그림이 그려져...
-
작가 황석영 석방대책위원회 결성취지문
등록번호 : 00033670
날짜 : 1993.07.10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박용길
요약설명 :
사진사료 18건
더 보기-
황석영, 명진 스님, 이영순, 홍성담, 위인백씨 등 민협방문 좌담회
등록번호 : 00892826
날짜 : 1988.05.00
구분 : 문서류 > 사진
기증자 : 이종수
요약설명 : 황석영, 명진 스님, 이영순, 홍성담, 위인백씨 등 민협방문 좌담회 사진
-
황석영석방대책위원회 결성식
등록번호 : 00914813
날짜 : 1993.08.05
구분 : 문서류 > 필름
기증자 : 박용수
요약설명 : 북한 방문 등 국보법 위반으로 구속된 소설가 홍석영의 석방 촉구 활동 대책위...
-
황석영석방대책위원회 결성식 모습
등록번호 : 00914814
날짜 : 1993.08.05
구분 : 문서류 > 필름
기증자 : 박용수
요약설명 : 북한 방문 등 국보법 위반으로 구속된 소설가 홍석영의 석방 촉구 활동 대책위...
박물사료 1건
더 보기민주화운동사 컬렉션 2건
더 보기-
1980년대 통일운동
요약설명 : ‘6.10 남북학생회담’ 조건으로 총 46 건, ‘8.15 남북학생회담’ 조건으로 총 26건, ‘남북학생회담’ 조건으로 총 118 건이 검색되었다. 전대협 명의의 <6·10 남북학생회담 남북은 하나! 만나자 ! 6·10판문점에서> (등록번호 : 70986)과 <6·10 남북학생회담 안내 유인물> (등록번호 : 524690) , 전대협· 민통련 외 47개 단체 명의의 <결의문-6.10 남북학생회담투쟁을 이어 공동올림픽 개최투쟁으로 나아가자> (등록번호 : 122921), 전대협의 < 8.15 남북학생회담에 부쳐 국민에게 드리는 글-남과 북은 결코 둘일 수 없읍니다.> (등록번호 : 184537), 5월 28일자 전국 67개 단체명의의 <조국통일의 대업을...
-
자유실천문인협의회문학인 101선언
요약설명 : ‘자유실천문인협의회’ 조건으로 중복사료 포함 총 203건이 검색되었으나 자실 결성 당시의 사료는 없다. 간접 관련 사료로는 개헌청원 백만인 서명운동 관련 사료가 4건이 검색되었다. 결성시기와 가장 가까운 자료는 자유실천문인협의회가 생산한 < 自由實賤文人協議會의 편지> (등록번호 : 479617) 정도다. 자실의 활동은 70년대 후반에도 왕성한데, <自由實踐文人協議會 第三宣言> (등록번호 : 86474), <77' 인권선언> (등록번호 : 512205), <국제펜클럽 시드니大會를 지켜본 자유실천문인협의회 긴급성명> (등록번호 : 484908), <성명서-1978년도 '민족文學의 밤' 직후 백기완, 고은 씨 연행에 대한...
사료 콘텐츠 8건
더 보기-
혁명 이념을 문학으로 승화시킨 전사 시인 김남주
요약설명 : 한국기독교농민회의 모체가 되는 해남농민회를 결성했다. 광주에 올라와 소설가 황석영, 최권행, 김상윤 등과 더불어 민중문화연구소를 개설해 사회운동을 전개해 나가던 김남주는 또다시 수배되어 1978년 경찰의 검거망을 따돌리고 상경했다. 서울에 온 김남주는 ‘민주회복구속자협의회’를 통해 알게 된 박석률의 권유로 ‘남조선민족해방전선(남민전) 준비위원회’에 가입했다. 유신정권 하에서의 변혁운동은 철저히 비밀 지하조직이어야 한다는 신념 때문에 남민전 가입을 할 때 망설이지 않았다. 김남주는 이 조직에서 기관지 《민중의 소리》를 만들고 배포하는 일을 주로 했는데, 숙명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교직에 있던 박광숙도 이 일...
-
펜은 칼보다 강하다 -민주화를 향한 문인들의 기개
요약설명 : 15일 고은·신경림·백낙청·염무웅·조태일·이문구·박태순·황석영 등은 모임을 갖고, 이러한 유신 독재치하에서 한국 문단과 사회에 새로운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새로운 단체의 결성이 필요하다고 보고, 11월 18일 세종로 시위 도중 선언문을 발표할 것을 결정했다. 염무웅이 작성한 이 선언문은 이틀만에 무려 101명의 서명을 받아내어 11월 18일 오전 10시 무렵 자유실천문인협의회 인사 30여 명이 광화문 자유실천문인협의회 사무실 앞에서 ‘문학인 101인 선언’을 낭독했다. 자유실천문인협의회는 이후 시국 관련 구속 문인들의 석방, 언론ㆍ출판ㆍ집회의 자유를 촉구하는 등 조직적이고 대표적인 유신반대 민주화운동을...
-
사상계와 삼류 시인
요약설명 : 그 이후 ‘사상계 신인상’이라는 관문을 통해 유능한 문인들이 배출되었다. 이청준, 서정인, 황석영 같은 쟁쟁한 소설가와 강태열, 임종국 같은 시인들이 바로 그곳을 통해 배출되었다. 그 중의 임종국은 후일 ‘친일문학론’을 정리하여 친일문학 연구의 길을 열어준 사람이었다. 그가 그런 사상계를 통해 등단했다면 인정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사상계는 1970년 5월 통권 205호로 폐간된 지 오래였다. “저 친구가 언제 나왔대? 정말 사상계 출신은 틀림없어?” “몰라. 자기 말로는 그렇다고 하는데... 나도 직접 들은 건 아닐세.” 그런 쑥덕거림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그는 민주화 열기로 뜨겁던 1980년 내내 문학인들의 집회...
구술 컬렉션 2건
더 보기일지사료 3건
더 보기-
문인 61명 개헌서명 지지, "헌법 개정 청원은 국민의 당연한 권리"
일자 : 1974.1.7
분류 : 민주화운동 > 재야·지식인·종교
요약설명 : 4개 항목의 결의를 밝혔다. 이후 안수길, 김지하, 박연희, 백낙청, 송영, 이호철, 천승세, 한남철, 황석영 씨 등 9명이 중부경찰서에 연행되었다가 10시쯤 전원 훈방으로 풀려났다.『동아일보』 1974.01.07. 1면; 『부산일보』 1974.01.07. 1면;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1983. 『1970년대 민주화 운동과 기독교』, 274쪽. 『경향신문』 1974.01.07. 7면; 『중앙일보』 1974.01.07. 7면;『경향신문』 1974.01.08. 7면; 『동아일보』 1974.01.08. 7면; 『부산일보』 1974.01.08. 7면 서명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연행자제외) 이희승 이헌구 김광변 김정한 오영수 박두진 강용준 강태열 고은 구중서 김광협 김국태 김문수 김병걸 김병익 김승옥...
-
문인들, 「자유실천문인협회 101인 선언」
일자 : 1974.11.18
분류 : 민주화운동 > 재야·지식인·종교
요약설명 : 못다 읽은 채 해산했다.이희승, 이헌구, 박화성, 박두진, 고은, 신경림, 염무웅, 황석영 씨 등 문인 101명이 서명한 선언문에서 문인들은 “왜곡된 근대화 정책의 무리한 강행으로 인해 권력과 금력에서 소외된 정직근면한 대다수 국민들은 기초적인 생존마저 안심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부조리는 정치가의 독단적인 결정이아니라 전 국민적인 지혜와 용기에 의해 극복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①시인 김지하 씨 등 긴급조치로 구속된 지식인, 종교인, 학생들은 즉각 석방돼야한다 ②언론 출판 집회결사 및 신앙 사상의 자유는 어떠한 이유로도 제한될 수 없으며 모든 지식인은 이 자유수호에 앞장서야 한다 ③서민대중...
-
대한성공회 강당에서 ‘민족문학의 밤’ 개최, 고은·백기완 연행
일자 : 1978.4.24
분류 : 민주화운동 > 문화·예술
요약설명 : 있는 김지하, 양성우 시인 등의 작품을 낭독하였다. 이문구가 사회를, 고은이 개회사를 맡았으며 그밖에 김규동, 신경림, 백기완, 함석헌, 황석영, 천관우, 백낙청, 문익환, 성내운 등의 인사들이 행사에 참여하였다. 경찰은 이 행사와 관련해 4월 25일 백기완을 연행한 데 이어 4월 27일에는 고은을 연행하였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6, 332쪽; 자유실천문인협의회·백범사상연구소, 「민족문학의 밤」(1978.4.24.),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오픈아카이브 (https://archives.kdemo.or.kr/isad/view/00040876); 자유실천문인협의회, 「성명서 – 1978년도 ‘민족문학의 밤’ 직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