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컬렉션
반미시위
1980년후반부터 90년대 반미운동은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정치적 반미운동이다. 광주의 민주화 운동의 대학살, 폭력 진압을 방조한 미군의 배후조정을 공개 촉구하는 항의 반미운동이 그 첫걸음이였다.
이승만 시절부터 이어져 온 대한민국 독재정권의 극단적인 친미적 환경속에서 주한미군들은
너무나도 쉽게 횡포를 부려왔고, 독재정권에 맞서는 민주화 운동속에서 자연스레 주한미군의 문제도 수면으로 떠오른 것이다.
두 번째는 생존적 반미 운동으로 주한미군의 불평등한 SOFA ( 주둔군지위조약 )에 따른 엄청난 경제적, 사회 특권과 그에 따른 치러야하는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과 재산의 피해에 초점을 맞춘 반미운동이다. 주한미군들은 수차례 일상적으로 기지촌 여성들을 성적,폭력적으로 학대해왔고 많은 기지촌 여성들이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그들을 보호해야할 대한민국 경찰들마저 그들의 직업군 특성상 국민외로 취급하는 대한민국 정서를 그대로 반영하여 그들의 신변을 지켜주기는 커녕 주한미군의 범죄를 은폐하기 바빴다. 죄없는 목숨들이 사라져갔지만 아무런 보상이나 처벌이 없었다. 이후 주한미군들의 범죄는 기지촌 여성들뿐만 아니라 그들의 활동무대가 이태원,신촌,홍대로 이어지면서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아무 거리낌없이 범죄를 일삼아 왔다. 그러나 SOFA 에 따른 불리한 약정으로 그들은 대부분 대한민국 경찰권내가 아닌 미군법령하에서 조취되기 때문에 범죄에 걸맞는 처벌이나 보상이 이뤄지지 않았다. 그리고 90년대 초 용산 기지 이전문제부터 시작해서 2000년 독극물 한강 방출 사건까지 주한미군의 우리 국토 오염과 파괴가 드러남으로써 미군범죄에 대한 폭은 더욱 더 넓어졌다.
또한 고엽제 보상문제 역시 90년대 반미운동의 핵심 중 하나였다. 미국이 요청한 베트남참전 월남장병들은 한국에 돌아와서 고엽제의 피해사실을 알게 되었지만 그들은 정부로부터도 고엽제를 뿌린 당사자인 미국으로부터도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한채 암울한 세월을 격어야만 했다.
이런 수많은 반미관련사건들로 대학생, 시민단체들은 끊임없이 이에 항거하여 대항해 왔고 지금까지도 그 투쟁은 멈추지 않고 있다.
첫째, 정치적 반미운동이다. 광주의 민주화 운동의 대학살, 폭력 진압을 방조한 미군의 배후조정을 공개 촉구하는 항의 반미운동이 그 첫걸음이였다.
이승만 시절부터 이어져 온 대한민국 독재정권의 극단적인 친미적 환경속에서 주한미군들은
너무나도 쉽게 횡포를 부려왔고, 독재정권에 맞서는 민주화 운동속에서 자연스레 주한미군의 문제도 수면으로 떠오른 것이다.
두 번째는 생존적 반미 운동으로 주한미군의 불평등한 SOFA ( 주둔군지위조약 )에 따른 엄청난 경제적, 사회 특권과 그에 따른 치러야하는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과 재산의 피해에 초점을 맞춘 반미운동이다. 주한미군들은 수차례 일상적으로 기지촌 여성들을 성적,폭력적으로 학대해왔고 많은 기지촌 여성들이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그들을 보호해야할 대한민국 경찰들마저 그들의 직업군 특성상 국민외로 취급하는 대한민국 정서를 그대로 반영하여 그들의 신변을 지켜주기는 커녕 주한미군의 범죄를 은폐하기 바빴다. 죄없는 목숨들이 사라져갔지만 아무런 보상이나 처벌이 없었다. 이후 주한미군들의 범죄는 기지촌 여성들뿐만 아니라 그들의 활동무대가 이태원,신촌,홍대로 이어지면서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아무 거리낌없이 범죄를 일삼아 왔다. 그러나 SOFA 에 따른 불리한 약정으로 그들은 대부분 대한민국 경찰권내가 아닌 미군법령하에서 조취되기 때문에 범죄에 걸맞는 처벌이나 보상이 이뤄지지 않았다. 그리고 90년대 초 용산 기지 이전문제부터 시작해서 2000년 독극물 한강 방출 사건까지 주한미군의 우리 국토 오염과 파괴가 드러남으로써 미군범죄에 대한 폭은 더욱 더 넓어졌다.
또한 고엽제 보상문제 역시 90년대 반미운동의 핵심 중 하나였다. 미국이 요청한 베트남참전 월남장병들은 한국에 돌아와서 고엽제의 피해사실을 알게 되었지만 그들은 정부로부터도 고엽제를 뿌린 당사자인 미국으로부터도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한채 암울한 세월을 격어야만 했다.
이런 수많은 반미관련사건들로 대학생, 시민단체들은 끊임없이 이에 항거하여 대항해 왔고 지금까지도 그 투쟁은 멈추지 않고 있다.
갤러리
- 사진 저작권 안내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각각의 저작권자로부터 사용권을 획득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 서비스 이용 외에 무단전재 또는 재배포로 인한 명예훼손, 초상권 침해, 재산상의 피해 등이 발생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사진 사용 안내
- 생산자 및 기증자가 ‘박용수’인 사진의 사용은 구매신청을 클릭하여 직접 사진 구매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생산자 및 기증자가 ‘경향신문사’인 사진의 사용은 경향신문사 담당자(02-3701-1635)를 통해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의 생산자 및 기증자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담당자( sunny@kdemo.or.kr / 031-361-9539 )에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