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시민운동 단체의 활동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에 걸쳐 진행된 동구 및 소련에서의 사회주의의 붕괴로 민주화운동이 쇄퇴하고 경제성장의 결과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국민들의 의식도 변하기 시작했다. 국민들은 급진적 체제변혁보다는 일상생활에서의 점진적 개혁을 보다 선호했다. 시민사회의 공간이 열리면서 환경, 복지, 교통, 보건 등 일상생활에서 국민들이 점차 자기 목소리를 내는 일도 많아졌다. 노태우 정권은 체제도전적인 민주화운동을 국민들로부터 괴리시키기 위하여 체제도전적이 아닌 이런 운동을 의도적으로 허용했다. 체제변혁적인 민주화운동은 안팎의 위기 속에 점점 몰락해 갔고, 그 빈 공간을 시민운동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시민단체 운동이 대신하기 시작했다.
1989년 11월 계급중심적 운동에서 모든 계급, 계층을 포괄하는 국민적 합의에 기초한 새로운 운동의 전개를 주장하며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발족하였다. 회원들의 집회, 시위 등을 통해 자신의 요구를 관철해 왔던 것과 달리 공청회, 토론회 등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고 대안을 모색하며 여론을 환기시키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해 갔다.
경실련을 시발로 많은 시민단체들이 조직되기 시작했다. 1993년에는 전국적인 환경운동조직인 환경운동연합이 결성되었다. 1994년 9월 또 하나의 시민운동 단체로 참여민주사회와 인권을 위한 시민연대가 출범하였다. 참여연대는 창립대회사에서 문민정부의 과업이 민주주의의 정신을 되살리고 그것을 제도적으로 정착시키는 것이라고 규정하면서 경제성장에 따라 국민의 기대와 요구는 팽창하였는데 정치의식이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지 못해 국정운영에 혼란이 발생하고 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무력감으로 변질되고 있다고 당시 상황을 규정하였다. 문민정부를 타도의 대상으로 규정하지는 않은 것이다. 다만 김영삼 정부 아래서도 여전히 강권정치의 관성이 유지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시민적 참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즉 시민운동에 의해 권력을 감시하고 견제하자는 것이다. 참여연대는 이를 위하여 의정감시센터, 사법감시센터, 인권운동사랑방, 공익소송센터, 내부비리고발자지원센터 등 5개의 실무 기구를 운영하였다. 제도권 내의 합법적인 방법을 통하여 문제를 풀어가겠다는 것이다. 참여연대의 운동 방식은 경실련과 큰 차이는 없었다.
시민운동의 발전은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면서 더욱 가속화되었다. 9190년대 말 우리 사회에서 활동 중인 약 3,800여 개의 시민단체 중 노동조합이나 종교단체, 연구기관, 문화예술단체 등을 제외하고 순수하게 공익을 위해 활동하는 시민단체만 약 700여 개나 되었다. 그 중 대다수는 김영삼, 김대중 정부 아래서 만들어진 것이다.
시민운동은 이제 우리 사회의 거의 모든 영역을 망라하고 있다. 환경, 복지, 교통, 여성, 인권 등뿐만 아니라 장애인, 동성애자, 희귀질환자, 양심적 병역기피자 등 사회적 소수자들의 문제까지도 시민운동의 차원에서 거론되고 있다. 그에 따라 일상생활의 많은 분야에서 민주주의의 실질적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