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이승만 정권

1945년 2월 4일, 일본 패망을 눈앞에 두고 얄타에서 미, 영, 소 삼국 지도자들이 모여 한반도 문제를 논의하여 해방 후 미, 영, 프, 소 4개국이 분할점령하기로 합의한다.
그리고 마침내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하자 38도선을 경계로 이남과 이북을 미국과 소련이 분할 점령한다. 그리고 이 해 12월 모스크바에서 미, 영, 소 3국이 5년 동안 한반도를 신탁통치하기로 결정하자 한민족은 찬탁과 반탁으로 나뉘어 격렬하게 대립한다.
그러자 미소 양국이 공동위원회를 개최하여 한국의 독립 문제를 협의하지만 논의에 참가시킬 정당 사회단체의 범위를 두고 이해관계가 엇갈려 회담은 결렬된다.
그러자 유엔은 한반도 문제를 상정하여 논의한 결과, 9개국 대표로 구성된 유엔한국위원단을 파견하기로 결정한다.
그러나 소련 측이 유엔한국위원단의 38선 이북 진입을 거부하자 유엔은 48년 2월에 총선거가 가능한 남측 지역에서만 유엔한국위원단 감시 하에 총선거를 치르기로 결정한다.
김구를 비롯한 통일정부를 지지하는 정파는 총선거에 불참을 결의한 상태에서 5월 10일 총선거가 실시된다.
그리고 5월 31일에 국회가 개원하여 헌법을 제정하고 7월 17일 공포한다. 그리고 이어 7월 20일 국회에서 이승만을 대통령에, 이시영을 부통령에 선출한 뒤 8월 15일에 정부수립을 선포함으로써 제1공화국이 출범하게 된다.
이후 제1공화국은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할 때까지 약 12년 동안 지속되는데, 그 과정에서 6.25 전쟁을 겪었으며, 수많은 정치적 사건들이 발생한다.
그 원인은 대부분 이승만 정권이 장기집권을 획책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것들이다. 단독정부 수립에서부터 시작하여, 1948년 일본의 치안유지법을 답습하여 반대세력을 탄압할 목적으로 제정한 국가보안법, 52년 발췌개헌안을 통과시킨 부산정치파동, 김구 암살, 사사오입 개헌, 3.15 부정선거가 모두 그러한 것들이다. 그리고 그런 것들이 결국 이승만 정권의 몰락을 재촉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