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컬렉션
1970년대 노동자 근로 환경
1970년대 경제개발계획에 의한 산업화로 인해 제조업이 급속도로 발전했다. 당시 산업기반이 취약했고 부존자원이 부족했던 한국의 상황에서 박정희 정권은 수출입국의 기치를 내걸고 우선 달러를 모으기 위한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대부분의 산업이 저임금에 기반한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이었으므로 노동력을 싼 노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그래서 생겨난 것이 이른바 ‘공돌이, 공순이’라고 불렸던 청소년 노동자들이다. 이들은 한창 학업에 열중해야 할 나이에 빈곤 때문에 학업을 포기하고 취업전선에서 중노동에 시달려야 했다. 당시 이런한 청소년들 중에는 낮에는 직장에 나가 일하고 밤에는 야간반 중고등학교에 다니는 사람이 많았다. 이들 청소년들이 질서정연하게 줄을 서서 집단 취학식을 갖는 장면이 보인다.
또 당시에 볼 수 있던 인상적인 모습이 버스 안내양이다. 모든 버스에 10대와 20대 초반의 아가씨들이 버스에서 중노동을 했던 모습은 드라마에도 종종 등장하는 추억의 장면들이다.
그래서 생겨난 것이 이른바 ‘공돌이, 공순이’라고 불렸던 청소년 노동자들이다. 이들은 한창 학업에 열중해야 할 나이에 빈곤 때문에 학업을 포기하고 취업전선에서 중노동에 시달려야 했다. 당시 이런한 청소년들 중에는 낮에는 직장에 나가 일하고 밤에는 야간반 중고등학교에 다니는 사람이 많았다. 이들 청소년들이 질서정연하게 줄을 서서 집단 취학식을 갖는 장면이 보인다.
또 당시에 볼 수 있던 인상적인 모습이 버스 안내양이다. 모든 버스에 10대와 20대 초반의 아가씨들이 버스에서 중노동을 했던 모습은 드라마에도 종종 등장하는 추억의 장면들이다.
갤러리
- 사진 저작권 안내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각각의 저작권자로부터 사용권을 획득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 서비스 이용 외에 무단전재 또는 재배포로 인한 명예훼손, 초상권 침해, 재산상의 피해 등이 발생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사진 사용 안내
- 생산자 및 기증자가 ‘박용수’인 사진의 사용은 구매신청을 클릭하여 직접 사진 구매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생산자 및 기증자가 ‘경향신문사’인 사진의 사용은 경향신문사 담당자(02-3701-1635)를 통해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의 생산자 및 기증자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담당자( sunny@kdemo.or.kr / 031-361-9539 )에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