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대북관계

해방 이후 줄곧 극심한 냉전 상태를 유지해오던 남과 북은, 60년 말부터 조성된 국제적인 데탕트 분위기에 편승하여 대화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그리하여 1971년 남한적심자사의 최두선 총재가 북한적십자사 측에 남북이산가족찾기 운동을 제안한 것을 계기로 대화가 시작된다. 예비회담 과정에서 남북 당국간 회담이 추진되어 72년에는 7.4 남북공동성명이 발표되기에 이른다.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의 원칙에 입각한 통일논의가 합의되어 민족 모두의 가슴에 통일에 대한 희망을 부풀게 했지만, 그 해 10월에 박정희 정권은 10월유신을 단행함으로써 국민의 기대를 철저히 배신하게 된다.
또한 데탕트와 더불어 닉슨독트린의 발표로 아시아인의 방위는 아시아인이 자체적으로 해결하도록 함으로써 주한미군 감축계획이 발표되자 박정희는 안보에 불안을 느끼고 자주국방을 추진하여 미국과 갈등을 빚으면서 군사력 증강에 몰두한다.
그리고 이후 적십자사와 체육계를 통해 몇 번의 대화 시도가 있었지만 그때마다 서로 입장차이만 노출한 채 무산되고 말았다.
또 74년 일련의 땅굴발견, 76년 8.18 도끼만행사건, 어선 납북과 해상에서의 잦은 충돌, 해외에서의 유학생 및 여행자 납북, 간첩 남파 등으로 긴장관계가 강화되는 등 유신시대 내내 남북 간에 냉온이 교차하는 관계가 반복된다.
이렇게 남북 관계가 경색된 이유로는 남과 북 모두 분단과 통일을 통치에 이용하여 체제 안정을 위한 도구로 활용한 측면이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박정희 정권은 정권 위기가 닥칠 때마다 북한의 지령을 받는 간첩단 사건을 발표하여 북으로부터 강력한 항의를 받았으며, 북한은 불필요한 도발을 자행하여 박정희로 하여금 이런 명분을 제공한 면도 부정할 수 없다.
유신시대의 남북관계를 통해 진정으로 통일을 지향하는 실질적인 대화를 바탕으로 풀려지지 위해서는 남과 북에 민주적인 정부가 들어서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반면교사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