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컬렉션
1970년대 남북 직통전화 개통 현황
1972년에 남한의 이후락 정보부장과 북한의 김영주 노동당 조직지도부장이 평양에서 극비리에 만나 자주, 평화, 민조대단결을 내용으로 하는 7.4남북공동선언을 발표한다. 이는 닉슨독트린에 따른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 수정과 소련의 경제사정 악화로 소련의 지원이 중단되다시피 한 북한의 사정 등 남과 북의 양 독재체제 지도자들의 이해관계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기도 했다.
남과 북은 이 선언에서 합의한 대로 남북조절위원회를 설치하여 남북 간 대화의 채널을 갖기로 한다. 그 방편으로 양측 남북조절위원회에는 직통전화가 개설되고 남북 대표가 이 전화로 통화하는 장면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국민들은 통일에 대한 희망에 부풀기도 했다.
남과 북은 이 선언에서 합의한 대로 남북조절위원회를 설치하여 남북 간 대화의 채널을 갖기로 한다. 그 방편으로 양측 남북조절위원회에는 직통전화가 개설되고 남북 대표가 이 전화로 통화하는 장면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국민들은 통일에 대한 희망에 부풀기도 했다.
갤러리
- 사진 저작권 안내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각각의 저작권자로부터 사용권을 획득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 서비스 이용 외에 무단전재 또는 재배포로 인한 명예훼손, 초상권 침해, 재산상의 피해 등이 발생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사진 사용 안내
- 생산자 및 기증자가 ‘박용수’인 사진의 사용은 구매신청을 클릭하여 직접 사진 구매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생산자 및 기증자가 ‘경향신문사’인 사진의 사용은 경향신문사 담당자(02-3701-1635)를 통해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의 생산자 및 기증자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담당자( sunny@kdemo.or.kr / 031-361-9539 )에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