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5.16군사쿠데타와 제3공화국

박정희 정권은 대일 청구권자금과 미국의 유·무상 원조, 서독으로부터의 차관, 월남파병으로 인한 외화수입을 기반으로 경제개발계획을 추진하는데, 그 기조는 분배를 철저히 외면한 성장 일변도 정책으로 일관했다.
그 과정에서 노동자, 농민 등 기층민중은 철저히 소외되었다. 저임금을 위해 저농산물가격 정책을 유지했으며, 농촌이 피폐화로 인해 농촌인구가 대거 도시로 유입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들 남아도는 노동력은 살인적인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게 만들었고, 존재의의를 상실한 근로기준법은 이들에게 아무 보호막이 되지 못했다.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추진 과정에서 무리하게 외자를 도입한 기업들은 점차 한계를 드러내, 6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부작용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재무구조가 나빠진 기업들은 쥐꼬리만한 임금마저 몇 달씩 체불하기 일쑤였고, 도산하는 업체가 속출했다. 더 이상 살아갈 길이 없는 노동자들은 마침내 들고 일어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정권은 노동자들의 생존권 요구에 대해 공권력으로 철저히 탄압을 가했다. 파업이나 단체행동은 곧 좌경, 용공이며, 불법으로 간주되었다. 사용자들은 노조를 결성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면 온갖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봉쇄했다. 회유하고 매수하고 테러를 가하고, 불법으로 해고를 자행했다. 노조가 결성되면 직장을 위장폐업하거나 고의부도를 내고 빼돌린 재산을 가지고 사라졌다. 현장에서 손발이 잘리고 목숨을 잃어도 변변한 보상을 받지도 못했으며, 억울한 사정을 아무 데도 호소할 곳이 없었다.
그러나 점차 노동자들은 생존을 위해서는 떨쳐 일어나야 한다는 사실을 깨우쳐갔다. 공무원과 미군부대에 근무하는 근로자들도 서서히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70년 평화시장 재단사 전태일이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고 외치며 분신자살을 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한국 노동운동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