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범민족대회, 대북학생회담

범민족운동은 90년대 대표적인 통일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1988년 7월 7일 노태우 대통령이 ‘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한 특별선언’, 일명 7·7선언을 통해 남북한 동포의 상호교류 및 해외동포의 자유로운 남북왕래 등을 천명하였다. 이에 1988년 8월 1일 남한의 각계 인사 1,014명의 발기인이 모여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세계대회 및 범민족대회 추진본부 발기취지문’을 발표하고, 범민족대회에서 남과 북 그리고 해외동포들이 참여한 가운데 조국통일방안을 검토하고 통일실천과제를 논의하자고 제안한 데서 비롯되었다.
1988년 12월 9일 북한의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범민족대회 추진본부에 공개서한을 보내 범민족대회 지지를 표명하였다. 1989년 3월에는 유럽지역, 북미지역, 일본지역에서 연이어 범민족대회 추진본부가 결성되었다. 그후 범민족대회를 개최하기 위해 예정된 3자 예비실무회담은 남한 정부의 거부로 성사되지 못하고 각각 남과 해외, 북과 해외로 구성된 2개의 2자회담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범민족대회는 1989년 8월 15일 서울과 판문점으로 나뉘어 분산개최되는 반쪽짜리 행사가 될 수밖에 없었으나, 동포들의 높은 관심 속에서 광범위한 사회단체들이 적극 참여함으로써 민간주도의 통일운동의 기틀을 다지는 전기를 이룩하였다. 범민족대회의 성과를 바탕으로 1989년 11월 베를린에서 남·북·해외 3자 합의를 통해 ‘조국통일범민족연합(범민련)’이 결성되었다.
매년 남북합동범민족대회를 개최하려고 하였지만 번번히 정부의 허가가 내려지지 않은 채 공동대회는 무산되고 말았다. 7·7선언과는 달리 통일을 위한 민간인들의 교류에 대해 어떤 관용도 베풀지 않았다. 오히려 통일을 염원하고 노력하는 학생들을 폭력으로 저지하고 구속하면서 그들의 통일에 대한 염원을 막아섰다. 그러나 그 무수한 과정속에서 남북학생들의 통일의지는 더욱 굳건하게 자리 잡았다.
남측에서는 전대협이 주측이 되어 범민족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투쟁과 함께 통일관련민주투쟁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이를 저지하는 전경들과의 많은 무력 충돌로 사상자가 속출하고 민주투쟁시위나 방북으로 인한 학생들의 구속이 잇달았지만 이런 희생들이 통일에 대한 밑거름으로 쌓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