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도시빈민 운동

5?18민중항쟁 이후 사회 전반에 폭력적 억압이 강화되면서 도시빈민운동은 종교의 보호막 아래 명맥을 이어가고 있었다. 빈민가 일대에 설립된 민중교회나 탁아소, 야학, 공부방 등이 빈민운동의 중심이 되었다. 이러한 활동을 바탕으로 기독교도시빈민선교협의회, 천주교도시빈민회 등이 결성돼 빈민운동을 전개했으나, 1980년대 전반까지 아직 빈민 스스로 운동의 주체로 등장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을 앞두고 전두환 정권은 도시 미관상의 이유로 서울시내 판자촌 200여곳을 강제 철거했다. 목동, 상계동, 사당동 등에서 주민들이 전두환 정권의 폭압에 항의해 대규모 투쟁을 전개했고, 그 과정에서 빈민들 스스로 운동의 주체로 등장했다. 1987년 7월 17일 결성된 서울지역철거민협의회는 빈민들이 주체가 돼 건설한 최초의 자주적 빈민대중조직이었다.
1987년 6월항쟁은 철거민들에게 연대투쟁의 위력이 어떤가를 절실히 깨닫게 했다. 6?29 이후 주민들은 스스로 농성 지도부를 구성하고 민주당사 점거농성에 돌입했다. 철거민들의 자주적 대중조직인 서철협이 결성되면서 철거민운동은 새로운 차원에 접어들었다. 1989년 거의 모든 철거지역에서 서철협의 지도하에 세입자 조직이 결성되는 등 철거민들의 투쟁이 활성화되면서 노태우 정권은 주택정책의 변화를 모색했다. 세입자들에게 임대주택이 보장되었고, 정착 전까지 거주할 가이주단지가 도입됐다. 철거 재개발이 포기되기도 하고 현지 개량 위주의 주거환경 개선사업이 실시됐다. 이는 철거민들의 피눈물 나는 투쟁의 소중한 결과물이었다.
빈민운동에서 또 하나 주목할 만한 분야는 도시 노점상인들의 생존권 쟁취운동이다. 도시 노점상들은 만성화된 실업과 반실업의 구조적 결과였다. 1987년 대중운동의 공간이 크게 열리고, 노점상들도 변화된 정세에 맞춰 그 해 10월 도시노점상 및 영세상인보호법 제정을 촉구하며 도시노점상연합회를 결성했다. 노태우 정권은 1988년 6월 노점상에 대한 전면적인 단속을 예고했다. 도시노점상연합회는 단속에 맞서 6월 13일 3천여 노점상이 참가한 생존권 수호 결의대회를 열었다. 노점상들은 단속을 즉각 중단할 것과 생활대책을 보장할 것을 요구했다. 노점상들은 이날의 투쟁으로 노점단속 유보라는 성과를 얻어냈을 뿐만 아니라, 노점상문제를 사회여론화시킬 수 있었고, 나아가 단결하면 이긴다는 자신감까지 얻게 됐다. 6?13투쟁을 바탕으로 도시노점상연합회는 1988년 10월 전국노점상연합회로 확대, 개편됐다. 서철협과 전노련이 출범하면서 도시 빈민운동의 연대가 모색돼 1989년 11월 11일 전국빈민연합이 결성됐고, 분열을 거쳐 1992년 전국도시빈민협의회의 결성으로 봉합됐다. 전빈협은 그러나 각 조직 간의 비협조로 사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