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대북관계와 평화통일 활동

198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남북 간의 체제경쟁은 남쪽이 점차 우위에 서게 됐다. 경제성장과 88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 그리고 사회주의권의 동요에 자신을 얻은 노태우는 소위 북방정책이라 불리는 대 사회주의권 외교관계 개선에 적극 나서게 됐다. 동구 사회주의권의 붕괴와 소련의 몰락으로 고립무원의 처지에 빠진 북한은 1991년 9월 17일 남북한 UN 동시 가입에 동의했다. 이 과정에서 남북간의 고위급회담이 진행돼 1991년 12월 남북관계에 새로운 획을 긋는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가 체결됐고, 이어 한반도 비핵화가 선언됐다. 지구상의 유일한 냉전지대인 남북간에 모처럼 해빙 무드가 조성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92년부터 영변 핵시설 사찰문제로 미국과 북한이 갈등을 빚기 시작하더니, 북한이 1993년 3월 12일 돌연 NPT 탈퇴를 공표했다.
1993년 김영삼 대통령은 전향적인 대북정책을 보였다. 통일부총리에 진보적인 한완상이 임명되고, 장기수 리인모를 조건 없이 북송하면서 남북관계 진전에 대한 기대가 한창 고조되고 있던 중 북핵위기가 닥쳐 남북관계는 일시 소강상태에 빠졌다. 방북한 카터의 중재에 의한 남북정상회담 개최는 김일성의 돌연 사망으로 실현되지 못했으며, 김일성 조문 등으로 남북관계는 꽁꽁 얼어붙고 말았다.
김대중 대통령은 남과 북의 화해와 협력을 추진했다. 금강산 관광, 남북정상회담 등은 김 대통령의 ‘햇볕정책’이 구체화된 것이었다. 김대중과 김정일은 자주적으로 통일문제를 해결하고 통일을 지향한다는 6?15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역사적인 대사건인 남북정상회담이 있고나서 남북관계는 급진전됐다. 이산가족 방문단을 교환했고, 비전향 장기수 63명이 북으로 갔으며, 경의선 개통 기공식이 있었다.
1989년 상반기 문익환 목사와 임수경이 방북하기 전까지 민간인들의 통일에 대한 논의는 금기사항이었다. 문익환과 임수경의 방문은 민주화운동 발전의 산물이었다. 민주화운동 진영은 한반도 분단과 독재정권의 배후에 미국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 운동 목표를 단순한 민주주의의 회복이 아니라, 미국을 위시한 외세의 극복과 그에 따른 민족의 통일이라는 인식에 도달하게 됐다. 남북 통일단체들은 1990년 12월 조국통일범민족연합 해외본부의 결성을 시작으로, 1991년 1월 북측본부와 남측 준비위원회를 결성했다. 범민족대회가 통일운동을 대중적으로 확산시키는데 기여했으나 정치적 균형을 잃음으로써 대중과 괴리되고 있다는 점에 따라, 통일운동은 범민련 주도의 범민족대회와 1994년 7월 창립된 자주평화통일민족회의 주최의 평화통일민족대회 등으로 분화됐다. 이후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이 벌이는 대북 지원사업 등 다채로운 통일운동이 벌어졌고, 보수와 진보가 총망라된 범국민적인 통일운동단체 등도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