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재야 민주인사의 활동

‘범국민단체로서 비정치단체이며 그 활동은 정치활동이 아닌 국민운동’으로 시작된 재야인사들의 활동은 곧 비합법활동이 되었으며 오랜 군사독재 기간 동안 정치적 구심이 되어왔다. 1969년 박정희 정권의 3선 개헌 강행으로 군사독재에 대항하는 민주진영의 모습이 광범위한 연합체의 형태로 등장했으며, 70년대 민주화운동의 구심점이 되는 재야세력이 형성되었다. 1970년대 들어 정치적인 결의수준을 높인 재야세력의 운동정치를 위한 상설 조직이 등장한다. 그 첫 모습은, 1971년 4월 19일 김재준, 천관우, 이병린 등 재야인사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민주수호국민협의회’로 등장했다. 민주수호국민협의회는 재야세력의 최초의 상설조직으로서 민주화운동의 구심으로 활동했으며 이후 조직되는 ‘민주회복국민회의’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위한 국민연합’ 등의 모태가 되었다. 1972년 박정희체제가 10월유신을 통해 억압적인 독재체제를 강화하자 이에 대항하여 재야세력은 1973년에 ‘헌법개정 청원운동본부’를 구성하여 유신헌법의 반민주성을 성토하면서 그 개정을 요구하는 민주화운동을 전개했다. 헌법개정 청원운동본부를 중심으로 개헌청원 100만인 서명운동을 거쳐 마침내 1974년 11월 27일에 김재준, 윤형중, 이병린, 이희승, 이태영, 천관우, 강원용, 함석헌 등 재야인사 71명이 참여한 ‘민주회복국민회의’가 조직된다.
박정희정권은 유신헌법을 제정함으로써 정치권 내에서의 민주적 경쟁의 질서를 깨고 장기독재의 길로 치달았고, 이에 대항하여 민주진영은 좀더 광범한 연합체 운동정치로써 저항해 나아갔다. ‘민주회복국민회의’ ‘민주주의국민연합’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위한 국민연합’ 등으로 재야세력이 조직화되고 야당 및 학생운동과 더불어 광범위한 민주화운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독재자 박정희가 살해되고 12.12 쿠데타와 광주학살을 통해 집권한 전두환 정권하에서 민주화운동은 침체기를 맞기도 하였지만 70년대 학생운동을 통해 배출된 청년활동가들이 투쟁성의 회복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을 결성한다. 그리고 25개 재야민주운동단체들이 결성한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 대선으로 분열되었던 재야단체들의 힘을 다시 결집하여 결성한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그리고 전민련이 합법정당 논쟁과 강기훈 유서대필사건 등으로 힘이 약화되자 재야운동세력들이 다시모여 결성한 민주주의민족통일 전국연합 등으로 집결하며 민족민주운동진영의 투쟁의 구심적 역할을 해왔다. 이와 같이 재야운동가들은 조국의 자주, 민주, 민족을 위해 끊임없이 희생하며 민주화의 진전을 이루어 왔던 것이다.